티스토리 뷰

728x90

 

 

 

 

 

걸스인텍에서 진행한 '앞서가는 개발자들의 3가지 비밀'이라는 주제로 3명의 연사분들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에 참석하게 되었다. 들으면서 인상깊었던 부분 메모했던것을 정리하고 느낀점을 써보았다.

 

 

 

01 회사에서는 어떤 개발자를 원할까? - 테크 리크루터 황혜경님

 

1. 회사가 찾는 개발자란?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자 = 깔끔한 코드 + 적절한 논리력

 

깔끔한 코드 → 유지보수 비용이 적은 코드, 다른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코드, 변경이 용이한 코드

"좋은" 개발자 → 공유 + 협업이 가능한 개발자

개발 이후 운영능력 (도메인 지식 필요), 학습능력을 갖춘 개발자

 

원티드콘에서 저 좋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에 대해 얘기하신 연사분을 언급해주셨는데 기억이 안난다ㅜ

 

2. 테크 리크루터의 눈에 띄는 이력서 작성방법

  • 이력서 작성시, 각 회사의 직무기술서를 꼼꼼히 읽고 거기 기술된 용어/언어로 다시 써볼것
  • 수치 등 숫자를 추가하면 좋다
  • 경험을 근거기반으로 서술할것
  • 회사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해서 작성
  • 채용플랫폼보다 회사 홈페이지 채용페이지 통해서 지원하는 것이 좋다
  • 링크드인, 리멤버 활용

 

테크리크루터가 인재 찾는 방법 중 하나가 키워드를 통한 검색이라고 한다. 블로그, 링크드인 등 작성할때 이부분 참고해서 작성하면 좋을듯

 

3. 신입에게 바라는 역량과 수준

  • 기술수준보다는 러닝커브가 높은 사람
  • 스스로 학습해서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사람

 

4. 면접에서 어필방법

S.T.A.R 방법 사용하기

Situation(상황) - Task(역할) - Action(행동) - Result(결과)

 

 

 

02 프로젝트 관리, 어떻게 스마트하게 할 수 있을까? - 전시진 연사님

 

노션 이용한 프로젝트 관리

  1. 데이터베이스 하나에 모든 데이터 추가(속성 추가 방식)
  2. 링크된 데이터베이스 활용하기 - 원 데이터베이스에서 필터링만 변경해서 새로 표를 만드는 방식 A, A-1, A-2 식으로 추가하는식..

 

 

 

03 글로벌 혁신 트렌드, 나를 어떻게 차별화할것인가 - 김형섭 연사님

 

1. Agile

execution is everything
Think Big, Start small 완벽하지 않은 빠른 실행과 조정/반영

Small Precious execution(recursive)

 

2. Trend chasing(Industry&Tehcnology)

  • 기술 트렌드 항상 관심 가질것
  • 개발 뿐만 아니라 경제, 글로벌 이슈 등의 다양한 분야에 평소에 관심 가지기 
    • Davos Forum 2023 주요 아젠다
      - quantum technology, green technology, robot, autonomous system, sustainable technology, editable nature
    • ESG 산업의 부상 ESG 관련 테크기업 있는지 알아봐야겠다..!

 

- 링크드인 포스트 올려보기!

 

 

 

 

Q&A 세션

공통 질문과 각 연사분들에게 개별 질문하는 시간을 가졌다.

 

(공통) 개발자에게 필요한 가장 중요한 역량 한가지를 꼽자면

  • 문제해결능력, 엔지니어링 능력
  • 커뮤니케이션 역량
  • 개발 외적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역량, 도메인 지식
    • 개발적인 내용을 비즈니스 언어로 풀어낼 줄 아는 능력 (사업가 등의 비개발 분야의 사람들에게 그들의 언어로 설명을 할 수 있는지)
      김형섭 연사님이 구글플레이 창구 프로그램 심사하셨던 사례를 들어주셨다. 피칭 하는 스타트업 대표가 대부분 기술적인 부분으로 어필하고 비즈니스 측면, 사업적 측면에서의 어필을 많이 하지 않아서 아쉬웠다고 하심

(공통) 동료 커뮤니케이션 잘 하기 위해선?

나인코퍼레이션에서는 스프린트를 깃헙 프로젝트로 관리…!

비대면 근무가 늘어나면서 글로써 의사소통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업무적인 내용을 잘 쓰고 팀원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기록 남기는 것 중요

 

(공통) 업무외적으로 개인역량 키우는 방법

혜경님 : 의지력 아웃소싱하기
책읽기, 기술트렌드 공부 등 같이 할 사람 구해서 하기. 혼자서는 잘안하게되니까..!

시진님 : 글쓰기

내가 모르는걸 알기 위해서 쓴다. 다른사람에게 알리기 위해선 내가 먼저 알아야하므로 자연스레 공부하게 되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서 쓰는 식

형섭님: 강연, 강의하기

덧붙여서 말씀해주신 부분이 기회가 왔을때 거절하지 말고 잡으라고 조언해주셨다. 강연 등의 제안 들어왔을때 거절하지 않고 

 

(혜경님께 질문) 신입에게 바라는것

배우려는 의지.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지

 

(시진님께 질문) 보신 포트폴리오 중에 가장 잘 만든 포트폴리오 사례가 있는지

프로젝트를 S.T.A.R(개요설명 - 문제상황 - 취한 액션 - 나온 결과) 방법으로 설명 잘 해놓은것

 

(형섭님께 질문) 개발자가 시대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한 방법

- Trend Chasing

ex) ChatGPT 가 나왔다면, ChatGPT에 대한 강의를 1시간반동안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공부.. 그리고 실제로 강의를 해보거나 글쓰거나 하고 피드백 받아보기

- 컨퍼런스, 포럼 참석 및 네트워킹

  유명인사의 책을 사서 읽는 것보다 그 사람과 직접 만나 얘기하는 5분이 훨씬 얻는 것이 더 많다.

 

 

 

 

소그룹별 질문 세션

(시진님께 질문) 참고할만한 노션 포트폴리오가 있는지

  • 잘만든 기획자 노션 포트폴리오 참고해보기!

 

소그룹으로 나눠서 그룹별도 연사님 한분씩 돌아가면서 질의응답하는 시간이 있었는데 시간이 너무 짧아서 우리 그룹에는 시진님 한분만 오셨다(아쉽..)

 

 

 

 

느낀점

 

맨날 회사-집만 반복하는 똑같은 일상 보내면서 개발자로서도 뭔가 스스로 성장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매일을 그렇게 보내고 있었는데 행사에 참여하고 나서 많은 동기부여와 자극을 받았다. 특히 형섭님의 세션이 제일 인상깊었다. 개발자라고 개발/기술 트렌드만 볼 것이 아니라 경제/산업 트렌드도 관심있게 봐야한다는 걸 느꼈다. 결국엔 기술과 산업이 별개가 아니라 긴밀하게 엮여있으니 하나만 볼게 아니라 둘다 평소에 관심을 가져야하는게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진님의 노션 프로젝트 관리 세션은 많이 아쉬웠다. 업무적으로도 개인적으로도 노션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으로서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꿀팁? 같은걸 기대했는데 뭔가 그냥 이러이러한게 있다 정도로 소개하는 정도에 그쳐서 많이 아쉬웠다. 주어진 시간이 너무 짧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었을 거 같긴했다. 시진님도 강연시작부분에 말씀하셨듯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강의에서는 좀 broad하고 보편적인(?) 내용의 강의를 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유용한 노션 기능 여럿 설명해주셨는데 직접 그걸 만들어보지 않고서는 어떻게 쓰는건지 알수가 없어서 그부분이 좀 아쉬웠다.

 

 

 

 

 

사진을 많이 안 찍었는데 지금 글쓰면서 보니 블로그 하려면 그래도 사진을 좀 남겨둬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행사 시작전 그냥 기념용으로 한장만 찍었는데 강연 하시는 연사님들 사진도 좀 찍어둘걸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ㅠ

 

 

 

롯데월드타워 35층 석촌호수뷰

 

행사는 원티드랩에서 진행되었다. 이런 행사 아니었으면 절대 갈 일이 없는 곳인데 걸스인텍 덕분에 롯데월드타워 35층에도 올라가보고 좋은 경험이었다ㅎㅎ

 

 

 

행사가 끝나고 같은 그룹이었던 분들 몇몇분과 함께 같이 저녁식사도 하고 커피도 마셨다. 회사 밖에서 개발자분들을 알게 되어서 너무 좋았다. 일하면서 겪은 일들, 고민거리들이 다 너무 공감이 되고, 내가 겪었던 일들도 공유(라기 보다는 거의  무슨 토로ㅠ)하면서 얘기하다보니 시간이 그냥 훅훅 지나갔다. 거의 무슨 9시가 다되서 자리에서 일어났다ㅎㅎㅎ

 

 

 

 

 오늘 받은 굿즈. 텀블러컵은 이미 집에도 많지만 왠지 행사 참여하면 주는 굿즈는 모으게 된다ㅎㅎ 걸스인텍 스티커도 노트북에 예쁘게 붙였다.

 

 

유익한 강연과 함께 좋은 개발자분들도 많이 알게 된 너무 좋은 시간이었다☺️

 

 

728x90